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Kllisre X79 M2 (M3) 메인보드 + 제온 e5 1650 리뷰 .feat e5 2620 v2
    IT리뷰 2020. 1. 11. 17:56

    방에서 사용할 데이터서버+PLEX동영상스트리밍+서브데스크탑을 위한 서버를 하나 구축해볼까 하면서 알아보고있던 중 중국 메인보드에 제온cpu를 얹으면 저렴하게 사용할수 있겠다라는 생각이 들어 간만에 돈좀 써서(?) 직구를 했습니다. 굳이 중국제 메인보드, 램 조합을 선택한데에는 '저렴함'이였습니다. 메인보드 자체는 한화로 55000원정도로 ddr3 기반의 구형보드를 중고로 구매했을때 보다 저렴하지는 않습니다. 이 조합의 가장 큰 장점은 괜찮은 성능의 6코어 cpu를 선택할수 있다는 점, ecc reg ddr3 메모리를 사용함으로써 (8GB에 17000원 근처) 고용량 메모리를 저렴하게 구매할수 있는 점 이였습니다.

     

    구매한 물품은

    Kllisre X79 M2-Q (X79 M3를 샀는데 바이오스에서는 M2-Q라 표기됩니다. 크게 상관은 없는것 같습니다.)

    Kllisre DDR3 ECC 8GB*2

    E5 1650 (+E5 2620 V2)

    입니다.

     

    먼저 근본을 알 수 없는 메인보드부터 한번 살펴봐야겠습니다.

    포장 자체는 찌그러진거 없이 그냥저냥 깔끔하게 왔습니다. 외부 박스에 별다른 설명같은건 없습니다.

    구성품은 쿨러소켓(중요), 사타 케이블 1개. IO쉴드, 나사들(중요)이랑 써멀그리스 입니다.

    타사 제품인 huanan 메인보드 리뷰를 봤을때 모스펫이나 납땜등이 고르지 않게 손으로 작업한거같은 퀄리티라고들 했는데 이 제품은 비교적 고르고 깔끔합니다. 메인보드 리튬전지는 제거되고 옵니다. 아마 폭발 위험때문에 항공운송이 안되서 그런것 같습니다.

    램슬롯은 2개로 듀얼채널까지밖에 지원이 되지 않습니다. 램슬롯이 더 많은 제품은 쿼드채널까지 지원합니다. 전원부에는 무려 방열판이 달려있습니다. 우측 하단에 보면 system fan 4핀이 구석지에 자리잡고있고, 램소켓 옆에 cpu fan 4핀이 있습니다.

    P/S2단자, 4개의 usb 2.0, 2개의 usb 3.0, 1개의 기가 랜포트, 오디오 단자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이 모델에는 usb 3.0헤더가 있습니다. usb 2.0핀 헤더도 1개이고 시스템팬 헤더도 있습니다. 전면부 패널 핀헤더 위에 cmos clear 핀도 있습니다.

    pci-e 3.0 X16, X4도 하나씩 있습니다. X16은 3.0으로 작동하는데 X4는 확인할만한 방법이 없어서 잘 모르겠습니다.

    Sata3 1개에 sata2 3개로 총 4개의 sata포트가 있습니다. sata 3.0이 1개밖에 없는건 조금 아쉽습니다.

    전원부

     

    리얼텍 오디오 칩셋이 들어가있습니다.

     

    SLJBE검색하니 HM76으로 인텔 7세대 칩셋인것 같습니다. 아이비브릿지 세대에 나온녀석이고 기본적으로는 제온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아마 개조된 녀석이겠지요.

    위의 칩셋 개조를 통해서 그런지 nvme m.2 슬롯도 있습니다. 구매자 리뷰를 보니 속도도 정상적으로 나오는것 같습니다. 원래 아이비브릿지 세대 메인보드에는 m.2슬롯이 없을텐데 참 이런부분은 중국이 대단하네요

    저전력으로 꾸려보려고 E5 2620 V2로 구매해서 장착 했습니다만..... 이후에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쿨러 장착하는 홀이 뭔가 이상합니다.

    위 메인보드 구성품에서 중요하다고 했던 녀석들입니다. 이 메인보드는 쿨러장착하는 홀이 cpu고정 소켓과 연결되어 있어서 메인보드 구성품인 쿨러가이드와 나사로만 장착을 해야합니다. 클립방식의 쿨러들만 장착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메인보드를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LGA2011소켓

    -7개로 추정되는 전원페이즈

    -ddr3 / ecc ddr3 / reg ecc ddr3 장착 가능한 램슬롯 2개

    -pci-e 3.0 x16 슬롯 / pci-e x4슬롯

    -m.2 슬롯 1개

    -1개의 cpu 쿨러 핀헤더 / 2개의 system 쿨러 핀헤더

    -후면부 usb 2.0 포트 4개 / usb 3.0 포트 2개 / 기가랜포트 1개 / 오디오포트 / P/S2 포트

    -온보드 usb 3.0핀헤더 1개 / usb 2.0핀헤더 1개 / 오디오핀헤더 1개

    -sata3 포트1개 / sata2 포트 3개

     

    바이오스 상에서 쓸만한 기능들

    -cpu 1~6코어 사용별 터보클럭 최대 39배수까지 설정가능(39이상 입력해도 터보 안올라감, 전력설정 필수)

    -cpu 최대전력 설정가능(코어 전압설정 아님, 안올리면 터보클럭 장시간 유지 안됨)

    -램클럭 설정(800Mhz~1866Mhz, 램전압, 램타이밍 설정 없음)

    -핫플러그 기능 설정(새로운 드라이브 연결시 윈도우에서 안잡힌다면 해당 사타포트를 핫플러그 enabled 후 부팅했다가 disabled로 설정해볼것)

    그리고 바이오스를 보면 온보드의 포트들보다 더 많은 포트들이 있습니다. 바이오스상에서 램슬롯도 4개이고 sata포트도 4개보다 훨씬 많습니다. 개조된 메인보드라는걸 확신 시켜줍니다.

    Kllisre ddr3 ecc 8GB 2개입니다. 1866Mhz가 기본 클럭입니다. 포스팅하는 날짜 기준으로 램값이 또 오르는것 같던데 ecc메모리, 그것도 중국제 직구이니 국내 램값과는 크게 연관이 없습니다.

     

    조립하고 난 후 입니다. ssd 2개, hdd 2개, gtx750에 쿨러는 3RSYS RC300을 달아줬습니다.

    그리고 cpu를 결국 E5 1650으로 바꿔줬습니다.....

    데이터서버, plex를 이용한 스트리밍 서버 구축에는 문제가 없었으나 '데스크탑'으로 사용하기에 버벅거리는게 많아서 입니다. E5 1650의 경우 최대 전력값변경, 전력값 변경을통한 6코어 모두 사용 최대 터보클럭값 3.9로 변경, 램클럭 1866mhz로 변경 가능하지만 E5 2620 V2의 위의 변경이 불가하며 램클럭도 1600mhz가 최대입니다. 물론 E5 1650도 엄밀하게 오버클럭은 아니지만 터보클럭을 최대로 올려줬을때 둘의 성능차이가 엄청나게 차이납니다. (fbs, cpu와 램 전압, 램타이밍등 더 세부적인 오버클럭이 가능한 x79보드들도 있지만 가격이 10만원 근처로 가버리기에 Kllisre M2-Q보드를 선택했습니다) 

    시네벤치 값을 간단하게 차트로 만들어보면

    위와 같은 차이가 납니다. 아무리 코어 갯수가 많아도 일상적인 기능에서 단일 코어 성능이 부족하면 버벅거리게 된다는것을 느꼈습니다(예를 들어 윈도우 업데이트중 버벅림). 마냥 장점만 있는건 아닙니다. E5 1650의 전력값을 올리고 터보클럭을 올리면 풀로드 cpu 소모전력이 140W정도 됩니다. 쿨러성능도 어느정도 받쳐줘야합니다. 패키지온도가 90도 근처에 가면 쓰로틀링이 일어나면서 터보클럭이 떨어집니다. RC300 달아주니 쓰로틀링 걱정할 온도까지는 올라가지 않더군요. 반면 E5 2620 V2는 올코어 터보클럭이 2.4Ghz로 최대 소모전력이 50W 언저리이고 온도도 45이상 올라가지는 않습니다. 어차피 상시 켜놓는 서버가 아니라 용도에 따라 껐다켰다 하는 데스크탑 겸용으로 사용하기에 전력부분은 신경쓰지 않습니다.

     

    다시 전반적인 이야기로 돌아와서

    cpu+메인보드+램 합쳐서 13만원정도 지출했는데 가성비가 좋은것 같으면서도 막상 구매하고 보니 그렇게 좋은것 같지도 않다라는 생각이 듭니다. 게임컴으로 사용하는 것도 아니고 간혹 하게 될 동영상 렌더링이나 결국은 데스크탑에 PLEX의 동영상 트랜스코딩 정도에 사용될건데, 과한 사양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좀더 좋은 그래픽카드 물려서 게임컴으로 사용해도 되지만 당장의 저한테는 필요가 없습니다. 게임컴은 따로 있으니까요. gtx750보다 소모전력이 더 낮은 그래픽카드 물려서 여러명이 사용할 서버를 구축한다면 e5 2620 v2를 사용해서 가성비 좋은 서버를 만들수 있겠지만 당장의 저에게는 과분하지만 여러모로 잘 활용하도록 해야겠네요.

     

    다만 13만원에 메인보드, 6코어 12스레드의 cpu, 16기가 램을 맞출수 있다는것은 분명한 메리트인것 같습니다. 라이젠시스템을 중고로 구축한다고 해도 13만원에는 6코어와 16기가 램을 충족시킬수는 없을테니까요. 단일코어 성능도 시네벤치에서는 라이젠 1세대에 비에 많이 밀리는것 같지만 게임 벤치 찾아보면 엄청 심하게 밀리지는 않습니다. 조금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저렴하게 게이밍 혹은 작업용 pc를 맞추실수 있을것 같습니다. 메인보드도 조악할줄 알았는데 usb 3.0포트나 sata3포트 갯수가 부족하다는 것 이외에는 신품(?)가격 치고 유명 브랜드 저가형 보드들하고 완성도에서 밀리지 않는다는 생각이 듭니다. 일단 저는 세세한것까지 뜯어 분석하는 전문가는 아니긴 합니다. 그리고 Kllisre 공식 홈페이지같은건 없으니까 바이오스 업데이트 할 불편함도 줄어듭니다. 러시아 유저들이 개조 바이오스를 만들어 쓰는것 같던데 과정이 귀찮고 벽돌되면 머리아파질까봐 그냥 쓰면 될것 같습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